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광복 80주년- 대한독립 만세

하루한줌 기록 2025. 8. 15. 10:47

목차



    반응형

     

    광복절 80주년 │ 2025.08.15

    이재명 대통령의 ‘새로운 대한민국’ 선언 — 대한독립만세

    경축식·국민임명식 안내와 함께, 임시정부·독립신문·독립운동을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오늘의 만세가 내일의 약속이 되도록.

    ※ 행사 세부는 주최 측 공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오전: 광복절 경축식 — 서울 세종문화회관(국민의례·경축사·경축공연·만세삼창).
    • 저녁: 광화문 국민임명식 — 시민 주권을 상징하는 참여형 행사.
    • 핵심 공부: 임시정부(민주공화국의 씨앗) · 독립신문(여론전) · 독립운동(국내외 연대).

    1) 광복절 80주년 행사 한눈에

     

    오전 — 공식 경축식

    • 시간/장소: 8월 15일 오전 10시, 서울 세종문화회관
    • 주요 순서: 국민의례 → 주제영상 → 경축사 → 경축공연 → 광복절 노래 제창 → 만세삼창
    • 의미: 독립과 민주를 함께 돌아보고 미래 세대와 약속하는 자리

    저녁 — 국민임명식(시민 주권)

    • 시간/장소: 8월 15일 저녁, 광화문광장
    • 핵심: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임명 의식 — “주권은 국민에게”를 상징
    • 안내: 교통 통제·안전 공지는 현장 공지 참고

    2) 대한민국 임시정부: 탄생·가치·활동

     

    어떻게 시작됐나

    • 1919.3·1운동의 민족적 외침 속에 상하이에서 임시정부 수립
    • 탄압을 피해 항저우·광저우·류저우·충칭 등으로 이동하며 독립 활동 지속
    • 한성정부·대한국민의회 등과 통합 거쳐 임시헌법 발표

    왜 중요한가

    • 임시헌장민주공화제·국민주권·남녀평등을 명시 — 해방 후 헌법 가치의 뿌리
    • 국가의 연속성을 지킨 합법 정부 — “나라가 사라져도 정신은 이어진다”

    무엇을 했나

    • 외교: 파리강화회의 청원 등 국제사회에 독립 의지 알림
    • 무장: 한국광복군(1940, 충칭) 창설 — 연합군과 공조, 국내 진공작전 준비
    • 선전: 기관지·선언문·포고문으로 세계 여론전 전개

    3) 독립신문: 1896·1919 두 신문, 무엇이 달랐나

     

     

    ① 1896년판(서재필 등)

    • 최초의 순한글 신문(1896.4.7 창간)
    • 자주·개화·시민권을 주장하며 근대적 여론을 형성

    ② 1919년판(임시정부 기관지)

    • 상하이에서 창간(1919) → 1926년까지 발간, 중문판 병행
    • 임시정부의 공식 입장을 알리고 국내외 독립운동을 연결

    4) 독립운동 핵심 타임라인(쉽게)

    분야 핵심 사건/조직 핵심 의미
    대중 운동 3·1운동(1919) → 6·10만세운동(1926) → 광주학생항일운동(1929) 전민족적 항일 의지, 비폭력 저항의 힘
    무장 투쟁 봉오동·청산리 전투(1920), 의열단(1919~), 한인애국단(1931~), 한국광복군(1940~) 무력 저항과 연합군 공조로 독립전선 강화
    외교·선전 파리강화회의 청원(1919), 임정 선언·포고, 독립신문 발간 세계에 정당성을 알리고 지지 확보
    사회·문화 물산장려·민립대학운동, 여성·노동·농민운동 경제·교육·권리의 생활 속 독립

    5) ‘새로운 대한민국’ 4대 약속

    1. 시민주권 — 정책의 시작과 끝에 국민 참여·투명·책임
    2. 공정·안전 — 반칙 없는 시장, 약자를 지키는 촘촘한 안전망
    3. 혁신·포용 — 반도체·배터리·AI, 지역균형·교육·돌봄 확대
    4. 평화·협력 — 실용적 대화와 강한 억지, 인도적 교류 병행

    어렵다면 이렇게 기억하세요: 사람(주권) · 규칙(공정) · 기회(혁신) · 안전(평화).

    6) 오늘 우리가 할 일(태극기·배움·참여)

     

     

    ① 태극기 달기

    • 시간: 오전 7시 달고, 3~10월 오후 6시 내리기 권장(야간엔 조명 필요)
    • 위치: 대문/베란다 난간의 중앙 또는 왼쪽, 날씨가 너무 나쁘면 훼손 방지

    ② 배움

    • 독립기념관·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전시·교육
    • 아이들과 3·1운동·임시정부·독립신문 이야기 나누기

    ③ 기록 보기

    •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임시정부 문서·독립신문 원문 열람
    • 우리역사넷 등 해설 자료로 쉽게 복습

    7) Q&A 7문 7답

    Q1. 임시정부가 왜 중요한가요?

    해방 전부터 민주공화국 원칙을 세웠고, 외교·무장·선전으로 독립전선을 지휘했습니다. 국가는 사라졌어도 정신과 제도는 이어졌습니다.

    Q2. 독립신문은 어떤 역할을 했나요?

    1896년판은 시민권·개화 여론을 만들었고, 1919년판은 임시정부의 기관지로 국내외 독립운동을 연결해 세계에 알렸습니다.

    Q3. 독립운동의 ‘국내·해외’는 어떻게 연결됐나요?

    국내의 비폭력 만세·학생·생활운동이 민족 기반을 다지고, 해외의 의열투쟁·광복군이 무장·외교를 담당해 상호 보완했습니다.

    Q4. 오늘 우리가 할 수 있는 기념 활동은?

    태극기 달기, 전시·교육 참여, 가족과 독립운동가 이야기 나누기, 기록 열람과 기부·봉사 참여가 좋아요.

    Q5. ‘국민임명식’은 무엇을 상징하나요?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는 원칙을 상징적으로 확인하는 시민 참여 의식입니다.

    Q6. 아이들에게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까요?

    나라를 되찾기 위해 모두가 힘을 모았다. 어떤 방법으로? 말로(만세), 글로(신문), 행동으로(투쟁·공부)!”처럼 세 가지 축으로 쉽게 설명하세요.

    Q7. 더 깊게 공부하려면?

    독립기념관·임시정부기념관 전시,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원문, 우리역사넷 해설을 함께 보세요.

     
    ↑ 맨 위로
    반응형